자급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단말기 자급제 도입하면 스마트폰 값이 싸질까? 사람들 사이에서 단말기 자급제가 꽤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동통신 관련 뉴스나, 신형 스마트폰 관련 뉴스에 달린 댓글을 보면 자급제가 답이라거나 자급제 빨리 시행해야 한다는 댓글이 달리고, 추천도 많이 받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과연 단말기 자급제는 지금의 이동통신 시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답이 될까요? 결론부터 얘기하면... "아닙니다." 자급제가 도입되고 시행되어도 고급형 최신 단말기 값은 내려가지 않을 겁니다.160만원이 넘을 것으로 전해지는 아이폰x 256GB 모델 저도 단말기 유통을 통신사에서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은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단말기 가격이 싸질 거라는 데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저가형, 보급형 단말기는 통신사에서 유통하는 편이 더 저렴할 수.. 더보기 단통법 시행 후, 통신요금은 줄어들었는가? 이전 글에서는 스마트폰 대란이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통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사진에서 보시듯,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내세우는 단통법의 효과입니다. 여러분은 이런 효과가 나타났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쥐라기공원이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무려 20여년 전에 나온 영화인데, 저는 영화보다 원작인 책이 더 기억에 남습니다. 그 책에 이런 대목이 나옵니다. 박사는 공룡이 많아졌다고 주장하는데, 공원 관리측에서는 그럴 리가 없다고 합니다. 자신들의 프로그램에 공룡 수가 1000마리로 나타난다는 거죠. 논쟁 끝에 박사가 공룡 수 입력 제한을 풀어버리고 다시 탐색을 누르자 공룡 수는 1000을 넘어 계속 올라가고, 그때서야 공원 관계자들이 .. 더보기 노트8 대란? 스마트폰 대란은 왜 일어나는가. 제목이 거창합니다. 스마트폰 대란의 해결책을 제시할 것처럼 보이지만, 글쎄요... 그게 가능하긴 한 건지 모르겠지만, 제가 아는 한 최대한 보조금의 비밀을 공개해 볼까 합니다. 지난 주말에 있었던 노트8 대란과 관련한 뉴스를 보고 쓰는 글입니다. [사진=연합뉴스] 보조금이 많이 살포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들이 통신회사를 많이 옮기는 상황을 흔히 대란이라고 합니다. 그 대란은 보통, 새 기종이 출시되어 나왔을 때 일어나곤 하지요. 2013년에 출고가 99만원인 단말기가 일시불 17만원에 풀렸던 갤럭시 S3 때부터 대란이라는 말을 썼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S3 대란, 노트4 대란... 지난주에는 노트8 대란이었죠. 대란 때, 보조금이 많이 풀린다는 얘기를 들은 사람은 스마트폰을 싸게 살 수 있었겠지만, 정보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