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나님이 마실 갈 때 타고 다니는 스파크 배터리를 교체했습니다. 우선, 선명하게 잘 나온 사진 하나 먼저 보시죠. 새로 교체한 배터리를 고정하기 직전 사진입니다.
지난 봄에 시동이 안 걸려서 보험사 긴급출동을 부른 적이 있는데, 이번에 또 시동이 안 걸립니다. 사흘 전에도 긴급출동 덕에 시동을 걸었는데 오늘 또 시동이 안 걸리네요. 몇 번 방전되더니, 배터리가 회복 불능 상태인 모양입니다.
스파크는 제가 출퇴근하면서 몰고 다니는 올란도와는 달리 자동조명 계기판이 아닙니다. 그래서 올란도의 자동조명에 익숙해진 제가 이따금 가까운 곳에 갈 때 스파크를 이용한 다음에 문제가 발생하곤 하는데요, 주차하고 내리면서 라이트 끄는 걸 잊어버리곤 합니다. 네, 제 잘못 맞습니다. 제가 잘못했습니다. ㅜ.ㅜ
배터리는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으로 구입해서 자가교체하는 편이 비용이 저렴합니다. 그래서 저도 인터넷으로 주문했는데요...
사실, 동네 상권 살리기라는 명분으로 보면 이게 참 어떻게 단정짓기 모호한 면이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판매하는 배터리 가격을 동네 정비소에서는 맞추어 주기 어렵다는군요. 그것도 차이가 꽤 납니다. 동네 정비소에서는 10만원이 넘어가는 곳도 있다는데, 인터넷으로 구매하면 5~6만원 정도에 해결됩니다. 심지어는 4만원대도 가능하니까요. 쓰던 배터리를 반납해야 하는 조건이 붙습니다만...
어쨌든, 저는 DIY 로 배터리를 교체하기로 하고 인터넷으로 주문했습니다. 스티로폼 박스에 잘 고정된 채로 배달된 배터리입니다. '상향유지' 라는 주의사항이 빨간 글씨로 크게 씌어 있습니다. 박스는 좀... 깨끗하지는 않군요.
스파크에는 din 타입의 40Ah 배터리가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우리집 스파크가 2013년식이니까 4년 정도 사용한 배터리입니다. 엔진룸 청소를 한 적이 없어서 먼지가 많이 끼어 있는 모습입니다. 이번에 배터리를 교체하면서 용량을 60Ah 로 조금 올려서 장착했습니다.
일단 배터리 단자를 풀어 줍니다.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니 배터리를 탈착할 때에는 (-) 단자를 먼저 분리하고, (+) 단자를 나중에 분리해야 한다는군요. 위 사진에서 붉은 덮개가 덮인 쪽이 (+) 단자입니다. 덮개를 열면 단자 위에 고정하는 금속 부품이 있고, 그 부품을 볼록한 너트로 고정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의 화살표 부분에 보시면 너트가 보입니다.
이런... 너트를 풀다가 떨어뜨렸습니다. 그것도 두 개를 다... ㅜ.ㅜ 하나는 위 사진에 보이는 위치에 떨어져서 조심조심 꺼낼 수 있었는데, 다른 하나는 보이지 않는군요. 바닥에 엎드려 차 밑을 봐도 찾을 수가 없어서, 공구함에 맞는 너트가 있는지 찾아봤습니다.
이 많은 볼트, 너트, 나사못 중에 하나쯤 있겠지요...
다행히 맞는 너트가 있습니다. 모양은 원래 있던 것보다 볼품없지만 기능은 차이가 없습니다. 잘 고정해주면 그만입니다.
알맞은 위치에 배터리를 고정하고 단자를 연결해 줍니다. (-) 단자 길이가 여유롭지 않아서, 제자리 잡기 전에 좀 기울여서 단자를 장착하고 배터리 자리를 잡아 주었습니다. (+) 단자는 그냥 끼울 수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사로 고정... 이른 아침의 밝은 햇살 아래에서 찍은 사진이라 너트 부분이 너무 밝아, 잘 보이지 않지만 아뭏든 단단하게 고정되었습니다.
그리고 배터리 위를 가로질러 고정하는 쇠붙이를 고정해 줍니다. 브라켓이라고 하더군요. 새로 장착한 60Ah 배터리는 원래 장착되어 있던 din 타입의 40Ah 배터리보다 앞뒤, 좌우 폭이 다 조금씩 넓습니다.그래서 브라켓이 배터리를 완전히 덮지 못하지만 고정하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나중에 부품대리점 근처에 갈 일이 있으면 좀더 큰 브라켓을 구입해서 갈아주기로 하고 일단은 이렇게 고정합니다.
고정하고 나서 시동을 걸어 봅니다. 부르릉~ 시원하게 잘 걸립니다. 이 배터리도 방전 없이 오래오래 썼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려면 제가 탈 때, 타고 나서 좀더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ㅡ.ㅡ;;
'뚝딱뚝딱 DI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릿수 숫자판 만들기 (0) | 2017.08.14 |
---|---|
지관과 골판지로 연필꽂이 만들기 (0) | 2017.08.13 |
포장박스 재활용, 깨끗한 박스 만들기 (0) | 2017.08.12 |
디지털 도어락 주키 교체 DIY (0) | 2017.08.02 |
프린터 상태는 인쇄 중인데, 인쇄가 되지 않을 때 (8) | 2017.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