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할 보드게임은 SET 라는 게임입니다. SET, 말 그대로 한 세트를 만드는 게임인데요, 주어진 카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서 석 장의 카드로 한 세트를 만들면 되는 게임입니다.
카드는 아래 그림과 같이, 네 가지 기준으로 나뉘어 각 기준마다 세 가지 구분이 있습니다.
첫째는 모양입니다. 물결 모양, 마름모 모양, 길쭉한 둥근 모양.
둘째는 색깔입니다. 빨강, 초록, 보라.
세째 기준은 갯수. 하나, 둘, 셋.
네째 기준은 무늬입니다. 테두리만 있는 모양인지, 색깔이 다 채워져 있는지, 줄무늬만 있는지...
이렇게 각각 구분되어 있습니다.
한 세트를 만드는 방법은 석 장의 카드가 위의 네 가지 기준 중,
1. 한 가지 기준은 제각각 다르고 나머지 기준은 다 같은 경우
2. 두 가지 기준이 같고, 두가지 기준이 각기 다른 경우
3. 세 가지 기준이 각기 다르고 하나만 같은 경우
4. 모양, 색깔, 갯수, 무늬가 다 다른 경우
한 세트가 됩니다.
예를 들면, 아래 그림은 모양, 색깔, 갯수가 다 같은데 무늬만 각각 다릅니다. 한 세트입니다.
이것도 세트죠. 모양과 무늬는 같고, 색깔과 갯수는 다릅니다.
무늬와 갯수가 같고 색깔과 모양은 다릅니다.
아래 보이는 그림들도 다 한 세트입니다. 왜 그런지 기준을 아시겠지요?
자, 세트를 만드는 기준을 알았으니 게임을 해 보겠습니다.
카드를 잘 섞어서 보이지 않게 덱을 쌓고, 그 중 열 두 장을 그림이 보이도록 공개해 놓습니다. 1 저는 벌써 한 세트 석 장을 찾았습니다. ^^;
열 두 장을 다 공개할 때까지, 참가자들은 카드를 보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리고 열 두 장을 다 내려놓은 후 참가자들이 동시에 카드를 확인합니다.
그 중 세트를 만들 수 있는 카드 석 장을 발견하면 셋! 또는 세트! 라고 말하며 석 장을 집습니다. 2 그 석 장이 한 세트가 될 수 있는 조건에 맞는다고 다른 참가자들이 다 인정하면 그 카드는 발견한 사람이 가져갑니다. 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도로 내려놓습니다. 누군가 한 세트를 맞추어 가져가면 다시 석 장을 공개해 놓습니다. 바닥에는 항상 카드 열 두 장 이상이 깔려 있어야 합니다.
카드 열 두 장 중에서 석 장으로 한 세트를 만들 수 없다고 참가자 모두가 동의하면 또 석 장을 더 공개해 놓습니다. 그러나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규칙서에 나와 있는 내용을 참조하면, 12장으로 한 세트를 만들지 못할 확률은 1/33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트를 만들 수 없다고 동의하면 석 장씩 더 공개해 놓게 됩니다. 15장으로 세트를 만들지 못할 확률은 1/2500 이라고 하는군요.
카드가 많을수록 세트를 만들지 못할 확률은 줄어들게 됩니다. 실제로, 세트를 만들이 못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장수는 20장이라고 합니다. 21장이 공개되면 그 중에는 한 세트를 만들 수 있는 카드 석 장이 반드시 있다는 겁니다.
계산상으로, 게임 안에서 세트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모두 1080 가지입니다. 임의로 뽑은 12장의 카드로 만들 수 있는 세트의 개수는 평균 2.7개이고 15장을 뽑으면 5.6개라고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세트 만드는 방법 중 유형 1이 나올 확률은 10%, 유형 2의 확률은 30%, 유형 3의 확률은 40%, 유형 4의 확률은 20% 입니다. 즉, 가장 자주 나오는 세트는 세 가지 기준이 다르고 한 가지 기준만 같은 세트입니다.
더 이상 공개할 카드가 없고, 공개된 카드 중에서 세트를 만들 수 없으면 게임은 끝나게 되고, 게임이 끝났을 때 가장 많은 카드를 가진 사람이 승리하게 됩니다.
'보드게임 마니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스트 마우스 로스트 (0) | 2017.08.16 |
---|---|
간단하지만 긴장감 있는 게임, 욕심주사위 (0) | 2017.08.14 |
단서를 찾아 범인을 추리하는 게임, 여우와 탐정 (0) | 2017.08.13 |
숫자 마술 카드의 비밀 (0) | 2017.08.09 |
유명한 보드게임, 루미큐브 (0) | 2017.07.26 |